박무 서울 29 °C
로그인 | 회원가입
07월07일mon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제주도]노지감귤 맞춤형 안전장비 보급 농가 호응 커
작업 단계별 위험성 수준 70% 감소, 안전관리수준 54.4% 향상, , 재해방지 비용 31.5% 감소 등
등록날짜 [ 2019년11월29일 17시47분 ]

 

농작업 단계를 고려한 위험요소 분석 및 개선 노력이 농업 안전성을 높이고 사전 재해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동부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배)는 올해 성산읍 고품질노지감귤연구회(회장 고태욱)에 보급한 노지감귤 맞춤형 안전관리 실천 시범사업이 농가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2012년 고용노동부 국내 산업통계자료에 의하면 농업 재해율은 1.3%로 타 산업 재해율 0.59%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농가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농업 노동력은 점차 열악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2019년 4월부터 8월까지 사업비 72백만 원을 투입해 고품질노지감귤연구회 12명을 대상으로 농작업 안전전문가 컨설팅 및 농작업 안전장비, 보조구 등 23종 103대(개)를 보급하였다.
 

특히 안전관리전문가 나사렛대학교 손병창 교수의 5회에 걸친 컨설팅을 통해 노지감귤 작업 분석, 작업별 위험요인 분석 및 위험성 평가, 작업별 개선 대책 수립, 농작업 개선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노지감귤 재배 과정에서 농작업 위험요인이 가장 많은 파쇄, 운반, 농약살포 등 위험성 수준은 사업 전 3.3에서 사업 후 1.0으로 70% 감소하였고 농작업 관리 등 안전관리 수준은 사업 전 578.9점에서 894점으로 54.4%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사고 발생율이 높은 파쇄기의 경우에는 투입구 커버 이중 설치, 레버 후진 시 시동 잠금, 이물질 튐 안전 보호막, 배터리 커버 설치 등을 보완해 작업 안전성을 높였다.
 

허리보호대 및 어깨보호대를 도입 보급하여 부적절한 작업 자세를 개선함으로써 퇴비 또는 비료 살포 등 중량물 취급에 따른 농업인 근골격계 부상을 줄였다.
 

특히 농가별로 노지감귤 농작업 위험요인 분석 후 맞춤형 사업추진으로 농가 만족도가 9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구당 농작업으로 발생되는 재해비용을 42.1%에서 10.6%까지 경감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사업 참가자는 “농업인 고령화와 무리한 농업 환경으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있어 예방이 중요하다”면서 “맞춤형 안전관리 실천 사업을 통해 안전관리 수준이 높아지는 등 농업인들에게 필요한 사업으로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윤주 농촌지도사는 “앞으로 작목별 작업특성과 위험요인을 고려하여 농작업 시 재해 예방을 위한 장비 보급뿐만 아니라 농업안전교육을 강화해 농업인들이 행복하고 안전하게 농작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올려 0 내려 0
송형섭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부산시]오거돈시장,“생태·관광·문화 어우러진 미래 첨단산업도시 사하로” (2019-11-29 17:51:55)
[인천강화군] 말라리아 예방 자문위원회 개최 (2019-11-29 17:43:28)
경기침체 극복을 위해 소상공인...
‘2026년 제7회 섬의 날’ 행사...
대한민국 해양 마약 밀반입을 ...
오늘 20분이 연말이면 4시간, ...
오영훈 지사, 현장 방문 RE100 ...
김포새일센터 「디지털튜터(강...
부평구, ‘함께하는 육아 프로...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