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무 서울 29 °C
로그인 | 회원가입
07월07일mon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인천부평구] “음식물쓰레기 ZERO화 도전”
RFID기반 공동주택 생물학적 재활용시설 시범사업 추진
등록날짜 [ 2020년04월21일 15시23분 ]

 

부평구(구청장 차준택)는 21일 음식물쓰레기 ZERO화를 위해 공동주택 내 RFID기반 생물학적 재활용시설인 감량화기기 설치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수도권매립지 반입한계에 대비해 음식물류 쓰레기의 발생억제 및 감량을 유도하고, 주민들의 생활불편 최소화를 위해 마련됐다.
 

감량화기기는 현재 음식물류폐기물 다량배출 집단급식소인 부평구노인복지관과 단독주택지역 거점공간으로 지정된 십정동 EM배양소에 각각 1대씩 설치해 운영 중에 있다.
 

부평구 내 공동주택에 처음 설치·운영되는 감량화기기는 총 6대로, 지난해 9월부터 수요조사 및 사전신청을 거쳐 참여희망 공동주택으로 선정한 삼산1동 휴먼시아 1단지 아파트(890가정)에 올해 상반기 중 설치된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인식)기반 생물학적 재활용시설 감량화기기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면 자체적으로 발효·건조 감량 후 부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다. 음식물쓰레기 발생지점에서 직접 처리·재활용(퇴비)해 배출단계부터 실질적인 감량이 가능하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를 감량화기기에 투입하면 미생물을 이용해 자체적으로 발효, 약 80~85%를 소멸시키고 남은 10~15%의 처리부산물은 퇴비 또는 토양개량제로도 재활용할 수 있다.
 

기존 음식물쓰레기는 배출→수거·운반→처리(공공·민간)→잔재물 재활용·매립 과정을 거치는 형태로, 배출원에서 수집해 원거리 이동 후 처리시설에서 집약된다.
 

때문에 음식물쓰레기 수거·운반과정에서 악취 등으로 인근 주민들의 생활불편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처리비용도 해마다 상승하는 등 폐기물 처리에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구 관계자는 “이번 RFID기반 공동주택 감량화기기 시범사업을 계기로 휴먼시아 1단지에서 발생하는 연간 약 200t의 음식물류폐기물이 실질적으로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며 “시범사업을 통해 실질 감량 효과가 나타나면 앞으로도 감량화기기 보급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려 0 내려 0
최재호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독자투고]교통안전 지킴이 ‘경찰 등신대’를 아시나요. (2020-04-21 15:26:28)
[인천강화군] 사회적거리두기 속 코로나19 장기화 대비 (2020-04-21 15:20:48)
경기침체 극복을 위해 소상공인...
‘2026년 제7회 섬의 날’ 행사...
대한민국 해양 마약 밀반입을 ...
오늘 20분이 연말이면 4시간, ...
오영훈 지사, 현장 방문 RE100 ...
김포새일센터 「디지털튜터(강...
부평구, ‘함께하는 육아 프로...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