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소재 건축물의 상당부분이 여전히 지진에 취약했다.
더불어민주당 박남춘의원(행정안전위원회, 인천남동갑, 인천시당위원장)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구시의 내진대상 주택 11만8천동 중 84.3%가 내진보강이 안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국의 주택 내진율 21.3%보다 4%나 낮은 수치이다.
대구시의 주택 외 시설물 내진율도 15.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학교 1,374동 중 935동, 의료시설 302 곳 중 132곳, 공공업무시설 789곳 중 650곳, 노유자시설 1262곳 중 995곳 등이 내진확보가 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의 주택 이외의 건축물의 평균 내진 대비율 19.2%과 비교해도 3.6% 낮은 수치이다.
공공시설물 내진율도 57.8%에 불과했는데, 대구광역시의 공공건축물 446곳 중 295곳, 도로시설물 129곳 중 94곳, 산업단지폐수중앙처리시설 6곳 중 5곳, 수도시설 160곳 중 86곳 등 대구시의 중요한 시설의 내진확보율이 미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진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운영 현황도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상당수의 지진계측기가 지진을 제대로 계측하지 못하고 오류를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례를 들면, 중구청에 설치된 지진가속도 계측기는 사무실 출입구에 설치되어 각종 잡음이 섞여 정확한 지진 계층이 어려웠고, 남구청에 경우 사무실 안에 지진계측기가 있어 건드리기만 해도 오류가 날 가능성이 컸다. 다른 한 구청은 도로와 불과 10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자동차 진동과 소음 등에 노출되어 제대로 된 지진계측이 어려운 실정 등 상당수의 계측기가 제대로 작동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시 관계자에 따르면, “지진 계측기를 건물에 설치할 경우 사람들의 접근이 쉽지 않은 곳에, 그것도 지하와 중간층, 맨 위층에 일자 형태로 설치해야 하지만 상당수가 제멋대로 설치되다 보니 정확한 지진 값 측정이 불가능하고 지진계측기에 기록된 정보는 지정 분석기관인 기상청과 실시간 공유되지 않는다.”고 했다.
대구시는 2014년부터 1대에 1억5천만원 가량의 지진가속도계측기를 구·군, 가창댐, 공산댐, 와룡대교 등에 총 11대 설치하였고, 현재까지 본청만 미설치된 상태이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6년간(2012년~2017.10.21.) 우리나라의 지진 횟수는 2012년부터 56회, 2013년 93회, 2014년 49회, 2015년 44회, 2016년 252회로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2017년에도 10월 21일 기준 총 120회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남춘 의원은 “지난 경주 대지진 이후, 대구시 같은 경우 지진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은 더 클 것”이라며, “대구시는 식수와 관련된 시설들 그리고 주민들의 거주지인 주택과 학교의 내진설계를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