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조금 서울 13 °C
로그인 | 회원가입
04월28일mon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서울시] 일본산 참돔, 중국산 보리굴비 원산지 표시 위반 3곳 적발
수산물 취급 음식점, 프랜차이즈 마트, 전통시장 등 유통·판매업소 76곳 점검
등록날짜 [ 2021년12월03일 12시26분 ]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은 지난 11월 15일부터 11월 19일까지 해양수산부와 합동으로 수산물 취급 330㎡ 이상 대형음식점, 프랜차이즈 마트, 전통시장 등 유통·판매업소 76개소에 대한 수산물 원산지 표시 특별점검을 실시하여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이하 원산지표시법) 위반 업소 3곳을 적발했다.
 

이번 점검은, 수입산 수산물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지속적인 수산물 안전관리 일환으로 진행됐다.
 

겨울철 인기 횟감인 참돔 등의 중점적인 점검과 더불어 수산물 판매업자의 적극적인 원산지 표시를 유도하고자 정확한 원산지 표시방법 안내문 배부도 병행했다.
 

적발된 3개 업소 중 원산지를 미표시 업소는 2개소, 원산지를 혼동하게 할 우려가 있는 표시를 한 업소는 1개소이다.
 

참돔 1건과 보리굴비 1건의 원산지를 미표시한 2개 업소는 관할 자치구에 행정처분을 의뢰할 예정이며
 

일본산 참돔을 국내산·일본산으로 표시하다 적발된 1개 업소는 원산지 혼동우려 표시로 입건후 수사중에 있다.
 

"원산지를 미표시할 경우 국내산 수산물로 혼동할 우려"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을 경우 원산지표시법 제5조를 위반하는 행위임 에도 불구, 대형마트와 일식업소에서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은 채 영업을 하다 적발되었다.
 

대형마트 수산물 판매코너에 입점한 업체는 중국산 보리굴비의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고 판매하고 있었으며, 대형 일식 업소는 진열 중인 수족관에 일본산 참돔의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은 채 영업을 하였다.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을 경우 신선도를 중요시하는 수산물 특성상 국내산으로 오인할 우려가 커,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고 판매 목적으로 보관·진열할 경우 원산지표시법 제18조에 따라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일본산 수산물을 국내산·일본산 혼동 표시한 대형음식점 적발"
 

원산지를 혼동표시할 경우 원산지표시법 제6조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으나 현장에서는 아직도 혼동표시를 하여 소비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원산지 혼동표시로 적발된 대형음식점은 일본산 참돔을 국내산·일본산으로 혼동 표시한 이유가 수급상황에 따라 들어오는 원산지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으나, 거래명세서를 확인한 결과 8개월간 일본산 참돔을 취급하고 있었다.
 

원산지를 혼동 표시할 경우 형사처벌 대상으로 원산지표시법 제14조에 따라 7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박병현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안전수사대장은 “소비자의 알권리와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수산물 원산지 표시제도는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며 “앞으로도 관련기관과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시민들이 수산물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수산물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이며, 시민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제보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위반행위 신고방법

접수채널

접속방법

신고방법

응답소

인터넷

① 응답소 홈페이지(https://eungdapso.seoul.go.kr) 접속(포털사이트에서 ‘응답소’ 검색) → ② 민원신청 → ③ 본인 인증 → ④ 민원 작성

민생침해범죄

신고센터

인터넷

①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접속 → ② 분야별 정보 ‘안전’ → ③ 민생사법경찰 클릭 후 두 번째 메뉴 민생침해 범죄신고센터 → ④ 본인인증 후 신고글 작성

서울스마트

불편신고앱

모바일앱

① ‘서울 스마트 불편신고’앱 다운로드(앱스토어) → ② 본인인증 →

③ 생활불편신고를 민생사범신고로 변경 → ④ 신고내용 작성

민생사법

경찰단

유선신고

서울특별시 민생사법경찰단(02-2133-8962, 8843~4)에 유선 신고

올려 0 내려 0
김한수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 일상회복중단 위기상황, 연말연시 맞아 유관기관과 치안협력 다짐 (2021-12-03 12:32:57)
[경기도] 공정거래 감독권한 공유를 위한 학술토론회 개최 (2021-12-03 12:23:12)
[인천서구]인천서구가족센터와 ...
[인천부평구]부평구자원봉사센...
[강원특별자치도] 의료 반도체 ...
[경기부천시]수도권 신성장 거...
[전라남도] 생산단계 수산물 방...
[전북군산시]공공형 외국인 계...
[경상북도] 건설현장 부실시공 ...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