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테크노밸리들이 기존 산업 집적지 간 지리적 접근성 등으로 인해 IT(정보통신)산업 집적지 형성까지 장기간 소요될 것이라며, 지방정부의 전략적 접근과 인내심 있는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테크노밸리, 수도권의 IT기업지도를 바꾸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1일 밝혔다.
정보통신업은 다른 업종보다 수도권에 집중됐으며, 전체 고용에서 수도권 비중이 2010년 77.7%에서 2019년 80.3%로 늘어났다. 이 중 서울시 비중은 2010년 63.4%에서 2019년 59.3%로, 경기도 비중은 2010년 13.0%에서 2019년 19.3%로 변하는 등 정보통신업 중심이 서울시에서 경기도로 이동하는 흐름이다.
정보통신기업을 도내 더 많이 유치하려면 집적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도권 정보통신업의 집적지 입지 비율은 2014년 48.9%에서 2019년 60.3%로 증가했다. 이는 국내 정보통신기업이 제1 거래업체와 평균 거리를 29.6km 수준으로 유지하기 때문이다.
연 매출 1천억 원 이상 기업은 14.7km에 불과하다. 거래기업 간 거리가 가까운 집적지일수록 기존 기업들이 새로운 이전지로 선호한다는 얘기다.
이에 연구원은 판교를 제외하고 경기도에서 추진하는 광교, 고양, 양주테크노밸리 등이 기존 정보통신업 중심지인 서울 강남 등과 수십km 떨어져 있어 새로운 집적지를 형성하기까지 장기간 소요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면서 경기도와 시·군 등 지방정부가 기업 유치의 어려움 및 미분양 장기화 등을 이유로 자산개발업체 위주 공급책을 택하지 말고, 전략적 접근과 인내심 있는 투자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중소벤처기업만으로는 지역경제 고도화와 활성화에 필요한 중심거점과 연계망 구축이 어려우니 글로벌 수준의 핵심기업·기관 유치 ▲용인-화성지역을 중심으로 한 주력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정보통신업 융합허브 역할 부여 ▲영상기술의 고양테크노밸리와 스마트 제조혁신의 양주테크노밸리를 설정하고 관련 지원 인프라 구축 방안 마련 등을 제시했다.
문미성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사업시행자인 LH와 GH(경기도시공사) 등은 태생적으로 적극적인 기업 유치 활동 실행이 어려운 조직인만큼 테크노밸리 소재 지방정부가 전략 업종·기업 유치 전략을 마련하고 이에 필요한 혁신지원시설을 조기에 구축해 집적지 발전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