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청 앞에서 상수도 사업본부 직원 등이 가뭄 대비 물 절약 실천 홍보를 위한 거리 캠페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제공)
광주와 전남지역의 최근 1년 누적강수량이 1973년 이후 두 번째로 적은 강우량을 기록한 가운데, 정부와 국민이 합심해 가뭄 극복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9일 가뭄 지역에 용수확보대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국민과 함께 생활 속 물 절약, 도서지역 먹는 물 기부 캠페인 등을 추진해 가뭄을 극복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6개월 전국의 누적 강수량(642.3㎜)은 평년의 108.6%이나 광주·전남지역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66.8%로 일부지역에 기상가뭄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4월까지는 강수량이 대체로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남 지역 중심의 기상가뭄은 4월 이후 점차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농업용 저수지의 전국 평균 저수율은 평년의 98%로 정상이나 6개월 이상 장기간 강수량이 적었던 전북과 전남은 각각 82%, 80%로 낮은 수준이다.
때문에 모내기철(5~6월) 이후까지 가뭄이 이어질 경우에는 국지적으로 농업용수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영농기 물 부족이 예상되는 저수지를 대상으로 하천수 양수저류를 통한 물 채우기, 하천·배수로 물 가두기 등을 실시해 용수를 추가 비축·확보해 나가고 있다.
또한 대규모 저수지는 하천유지용수 방류를 감량해 용수사용을 줄이는 등 영농기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사전에 대비하고 있다.
생활·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20곳) 및 용수댐(14곳) 저수율은 예년의 102%, 99% 수준이다.
그러나 전남·북의 주암·수어·평림·섬진강댐은 ‘심각’단계, 경남의 합천댐은 ‘주의’단계, 경북의 안동·임하·영천댐은 ‘관심’단계인 까닭에 댐 공급량을 보다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아울러 일부 도서·산간 지역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용수공급 제한 및 운반급수 등 비상 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남부지방 가뭄 극복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먼저 행안부는 극심한 가뭄으로 급수를 제한받는 남부 도서지역 주민들에게 생수 등을 기부하는 ‘먹는 물 기부 릴레이’를 진행 중이다.
먹는 물 기부 릴레이는 도서지역의 가뭄이 해소될 때까지 계속하는데, 지난달 16일 서울시를 시작으로 전국의 지자체·공공기관에서 도서지역 주민들을 위해 먹는 물을 적극적으로 기부하고 있다.
특히 일반국민도 적십자사 또는 재해구호협회를 통해 참여 가능한데, 기부 시 기부금 영수증 처리를 통한 연말정산 혜택도 받을 수 있다.
농수산식품부는 영농에 대비해 저수율이 낮은 저수지에 대해 하천수 양수를 통한 물 채우기를 실시하고 있다.
또 가뭄 항구대책으로 추진 중인 농촌용수개발 12곳, 수계연결 3곳, 대단위 농업개발 2곳은 부분준공 위주로 추진해 연차적으로 급수면적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환경부는 주암댐·평림댐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는 전남 12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자율절수 수요조정제도’를 통해 물 절약이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적극 독려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수·광양산업단지 입주기업과 협의해 공장정비 일정 조정, 냉각수 외부 배출 최소화 등을 통해 용수사용량을 감축한다.
이한경 행안부 재난관리실장은 “광주·전남지역의 물 절약 실천과 도서지역 먹는 물 기부 참여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가뭄이 해소될 때까지 조금만 더 힘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정부도 관계기관과 긴밀하게 협력해 물 부족 예상 지역에 대한 급수 확대 방안 등 가뭄대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국가승인통계인 ‘2021 국가가뭄정보통계’도 오는 10일부터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 등을 통해 제공한다.
국가가뭄정보통계에는 2021년 한 해 동안 발생한 가뭄의 특성과 현황, 피해, 대응, 복구에 대한 주요 통계를 수록하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뭄을 분석하고 예방·대비하는데 기반이 될 것이다.
제공 : 행정안전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