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새우 양식 분야의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해 지원사업 발굴 등 활성화 방안 마련에 나섰다.
도는 18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한국새우양식총연합회 충남지부회 회원, 수협중앙회, 관계 시군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생우 양식인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새우 양식 활성화 방안 마련에 앞서 도내 새우 양식인들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현안사항 등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으로 진행했다.
국내 대하 양식은 1963년 충남 웅천양식장에서 인공부화에 성공하면서 시작됐으며, 1970년 보리새우 종묘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충남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달했다.
1977년 84톤 수준이었던 양식 생산량은 1980년 보리새우류 종자 생산체제가 확립된 이후부터 서서히 늘기 시작해 1992년에는 562톤까지 증가했다.
그러나 1993년 흰반점병바이러스(WSSV) 감염에 의한 대량 폐사로 생산량이 272톤으로 급감했고, 해마다 새우 양식장에 반복적인 대량 폐사가 발생함에 따라 어려움을 겪었다.
다행히 2003년 미국으로부터 흰다리새우 600여 마리를 이식해 보급한 결과, 국내 새우 양식 생산량은 2006년 661톤(108억 3500만원)에서 2015년 5515톤(836억 5300만원), 2021년 9545톤(1537억 8700만원) 규모로 성장했다.
이 기간 충남 지역 생산량도 2006년 500톤(81억 9500만원), 2015년 646톤(101억 3200만원), 2021년 1790톤(315억 600만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국내 새우 양식장의 90%를 차지하는 축제식 양식장은 고비용, 저효율, 환경오염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 만큼 도는 바이오플락 양식장으로의 개선 등을 통해 새우 양식의 옛 명성을 되찾는다는 방침이다.
바이오플락 양식은 유익한 미생물을 이용해 수질을 정화시키는 친환경적 양식방법으로 연 1회 출하가 가능한 현재의 노지 양식과 달리 2-3회 출하가 가능하다.
출하 횟수 뿐만 아니라 작은 면적에서 더 많은 새우를 생산하는 장점도 있는데, 노지 양식이 3만 3000㎡(약 1만평) 당 연간 40톤(평당 150-200마리)을 생산하는 반면, 바이오플락 양식은 1000㎡(약 300평) 당 연간 12톤(평당 500-600마리) 생산이 가능하다.
도는 우선 도내 새우 양식인을 중심으로 충남새우양식연합회를 구성하고 충남해양수산총연합회 가입, 올해 새우 양식장에 지원하는 예산 8억원을 16억원으로 상향 편성해 지원할 계획이다.
장민규 도 수산자원과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새우 양식어업인의 고견을 듣고, 지원사업을 발굴해 촘촘히 살피겠다”며 “내년 충남 새우 생산량 200%(945억 1800만원) 상향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