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소방본부는 최근 산악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겨울철 등산객들이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겨울철 산행 안전사고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1월7일10:59경 문경시 주흘산에서 주부 양00(여,50세)씨가 하산하던 중 눈에 미끄러지면서 3m 아래로 떨어져 허리를 다쳐 119구조대에 의해 병원에 이송되었으며, 1월 6일 15:09분경 포항시 청하면 내연산에서는 성00(남,70세)씨가 하산중 미끄러지면서 발목을 삐어 응급처치를 받았다.
또한, 1월 1일 12:40분경 구미시 금오산에서 정00(여, 60세)씨가 등산로에서 발목을 삐어 119에 의해 병원에 이송되는등 금년들어 1주일 새 벌써 8명의 산악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경북소방본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겨울철(12~2월) 동안 140명의 산악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발목을 삐는등 안전부주의에 의해 발생한 기타사고가 60건(43%)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반조난 35명(25%), 실족․추락이 24건(17%), 개인질환이 18건(13%), 낙석에 의한 사고가 3명(2%)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로는 12월이 42명, 1월이 41명, 2월 57명 순으로 나타났다. 금년에도 1월~2월에 눈으로 인한 사고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등산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겨울 등산은 눈을 동반한 추위로 인해 저체온증을 유발하기 쉬워 보온․안전장비 등 더욱 각별한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심혈관질환자는 단독으로 산행을 자제하고 여러 명이 함께 등산을 해야 안전사고가 발생했을때 신속히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특히, 겨울 산악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하산은 반드시 오후 4시까지 해야 한다.
산에서는 일반 평지보다 빨리 어두워지며 겨울철 하산은 추위와 강풍, 빙판길 등으로 인해 평소의 2배이상 시간이 걸리게 되기 때문이다.
|
《겨울 산악사고 예방법 》
|
|
|
|
• 겨울에는 오후 4시까지 산밑에 도착 할수있도록 계획을 잡는다.
• 복장은 발수성 내의와 보온성이 뛰어난 외투를 여러겹 껴입는 것이 좋다.
• 겨울 등산에는 아이젠과 등산스틱을 준비하고 열량 높은 식량과
비상약, 물은 필수로 챙겨야 한다.
• 음주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 아무리 민첩해도 뛰어다니지 말고 쉼터나 대피소를 꼭 기억해두자
• 체력을 감안하여, 무리한 산행과 지정되지 않은 등산로로 산행하지 않는다.
|
한편 경북소방본부는 겨울철 등산객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도내 주요 산에 있는 119산악위치표지판 1,442개소를 정비, 조난등 위험사항 발생시 신속한 출동에 대비하고 있다.
최병일 경북소방본부장은 “산악 안전사고는 주로 무리한 산행과 안전 부주의가 원인이다” 며
“본인의 체력과 건강상태에 맞는 등산로를 정해 충분한 준비운동과 산의 지형을 잘 파악한 후 산행해 줄 것” 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