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서울 21 °C
로그인 | 회원가입
04월29일tue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청년이 뿌리내리는 마을, 전북이 키운다
지역 정착·공동체 활성화 이끄는 전북형 모델 주목
등록날짜 [ 2025년04월29일 14시10분 ]


 

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의 지역 정착과 공동체 회복을 이끄는 ‘2025년 전북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 대상지로 익산, 김제, 부안, 정읍, 고창 등 5개 청년단체를 최종 선정했다.

 

청년 주도로 지역 특색을 살린 마을을 조성하고, 청년이 지역의 일원으로 자리 잡도록 돕는 이 사업은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전북형 대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2022년부터 이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총 20개 청년단체를 육성했으며, 올해는 도내 13개 팀이 신청한 가운데 서류심사와 현장실사,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5개소가 선정됐다.

 

선정된 단체는 각 1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지역주민과 함께할 다양한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운영해 공동체 기반의 지속 가능한 마을을 만들어갈 예정이다.

 

익산시 익산청년연대(청춘 봄나루 마을)는 춘포면의 자연과 문화를 활용해 ‘청년 마음 치유 마을’을 조성하고, 문화예술 교육·기념식품 개발 등 주민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김제시 쌀도시의 청춘연구소(오고가 농다 청년 마을)는 청년 크리에이터 양성과 공예·로컬푸드 워크숍을 운영해 농업 중심 콘텐츠 마을로 육성한다.

 

부안군 다잇다잉(돌삶마을)은 세대 간 돌봄과 생태 교육을 중심으로 손모내기, 계절학교, 인문강연 등 공동체 회복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정읍시 샘샘 유한회사(아리송한 마을)는 마을의 일상을 기록하고 재해석하는 콘텐츠 기반 청년마을을 조성한다. 유휴 양곡창고를 리모델링한 문화공간을 거점으로, 시니어 패션쇼, 리폼 워크숍 등 세대 융합형 마을 콘텐츠를 기획한다.

 

고창군 원더청년(청년 고수 마을)은 전통 옹기, 씨간장, 숲 체험과 주민 참여형 족보 제작 콘텐츠를 통해 공유와 회복의 마을 문화를 실현한다.

 

선정된 5개 청년단체는 사업 실행 전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계획을 보완하고, 실질적 정착 기반을 다지며 내실 있는 사업 추진을 도모할 계획이다.

 

한편, 2022년 전북 청년마을로 선정된 익산 ‘사각사각’과 2023년 선정된 무주 ‘파머스에프엔에스’는 각각 2023년과 2025년 행정안전부 청년마을 만들기 공모에 최종 선정돼 3년간 국비 6억 원을 지원받고 있어, 전북형 청년마을 모델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다.

 

천영평 기획조정실장은 “청년이 지역에 뿌리내리고, 공동체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야말로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의 핵심”이라며, “이번 선정된 전북 청년마을 5개소와 행안부 청년마을 2개소* 등을 통해 청년과 함께 성장하는 전북형 지역정착 모델을 만들어가겠”고 전했다.

 
올려 0 내려 0
백봉현 기자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광주 노사민정 대표들, 135주년 노동절 맞아 “노사 상생‧지속 가능 노동시장에 역량 집중” (2025-04-29 14:14:12)
울산시 전국 최초 수소 트램과 차량, 복합 충전소 조성한다 (2025-04-29 14:05:59)
인천 서구, ‘제8회 아동이 주...
부평구, 민원실 내 수요자 중심...
강화군의회, ‘국립강화고려박...
강화천문과학관, 개관 1주년 맞...
공사장 주변 땅꺼짐 없도록. 서...
불안한 번지점프·집라인. 경기...
대전시, 디스텝 이전…원도심-...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