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서울 14 °C
로그인 | 회원가입
05월19일mon
 
티커뉴스
OFF
뉴스홈 > 뉴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쪽지신고하기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전시]인공지능으로 소방·구급차 더 빨라진다
대전시 긴급차량 운행 빅데이터 분석, 출동 지연문제 해결에 활용
등록날짜 [ 2018년04월25일 11시43분 ]

 

대전광역시의 소방차, 구급차 등 긴급자동차의 출동시간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로 한층 빨라질 전망이다.
 

대전시는 행정안전부 책임운영기관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과 시 소방본부, 교통건설국이 긴급자동차 교통정책 수립 및 소방 대응체계 개선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대형 재난사고에서 초동대응을 위한 신속한 출동이 가장 중요함에도 늘어난 교통량과 불법 주정차 등 긴급차량의 출동을 방해하는 요인들이 산재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손을 잡은 것이다.

 

이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대전시가 제공한 출동 위치정보 3000만 건(2016년 8월 ~ 2017년 7월)을 인공지능 기계학습으로 분석해 긴급자동차가 5분 이내 출동하기 어려운 취약지역 7곳과 상습 지연구간 8백여 곳을 찾아냈다.

 

그 중 유성구 테크노밸리와 대덕구 대화동의 오전 9시에서 오전 10시, 오후 1시에서 오후 3시가 소방차의 5분 이내 출동할 수 있는 비율이 10%로(동일시간 평균 18%) 가장 취약했다.

 

불법주차가 많은 주택가․상업지역 이면도로와 골목길은 소방차의 현장 도착을 방해하는 주요 구간으로 분석됐다.

 

또한, 대전지역 내 병원급* 의료시설 86곳 중 5분 이내 소방차 출동이 가능한 곳은 12곳(14%)인 것으로 나타났다.

※ 입원환자 30인 이상, 100인 미만의 의료시설로 스프링클러 설치가 법적으로 강제되지 않음

 

취약지역으로 신속하게 출동하기 위해 지연구간을 피해가는 최적경로 분석도 함께 진행했다.

 

기존에는 직선거리 기준으로 119 안전센터를 배정했지만, 이번 분석에서는 최적경로 기준으로 재난현장까지 가장 신속하게 출동 할 수 있는 119 안전센터를 찾는 방식으로 모의실험(시뮬레이션) 한 결과, 5분 이내 출동할 수 있는 비율이 2배 이상 상승했다.

 

이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으로 출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다.

 

대전시 소방본부 관계자는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토대로 소방차량이 재난 현장에 신속히 도착할 수 있도록 골든타임 확보계획을 마련할 것”이라며 “상습 지연구간의 주택과 상업지역에 초기 화재 진압용 비상 소화 장치를 우선 설치하고, 119 안전센터 배정 및 최적경로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반영해 보다 신속한 출동여건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려 0 내려 0
김용식 이 기자의 다른뉴스보기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전시]시민이 참여하는 상향식 시정혁신’시동 (2018-04-25 11:47:46)
[대구시] 스타기업, 디자인 혁신으로 미래산업 선도 (2018-04-25 11:37:51)
[인천강화군] 강화천문과학관 ...
[인천부평구] 생활밀착 업소와 ...
[인천 서구] 권일용 범죄 분석...
[경기부천시] 어버이날을 맞아 ...
[서울시]정원도시 서울을 견인...
[경기도] 도내 국가․민간 발주...
[대전시]“헷갈리는 분리배출, ...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